본문 바로가기
우리들교회_김양재목사님/매일큐티녹취기록

예수님이 오신 이유 (누가복음 5:27-39)

by relife_es 2025. 1. 29.

예수님이 레위라 하는 세리를 부르시자 그가 모든 것을 버리고 주를 따릅니다.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세리와 함께 있는 예수님을 비난하고, 그의 제자들까지 세례 요한의 제자들과 비교하며 정죄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혼인 집 손님들, 새 옷 조각, 새 포도주 비유로 답하십니다.
 
레위라 하는 세리
27 그 후에 예수께서 나가사 레위라 하는 세리가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나를 따르라 하시니
28 그가 모든 것을 버리고 일어나 따르니라
29 레위가 예수를 위하여 자기 집에서 큰 잔치를 하니 세리와 다른 사람이 많이 함께 앉아 있는지라
30 바리새인과 그들의 서기관들이 그 제자들을 비방하여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세리와 죄인과 함께 먹고 마시느냐
3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 데 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나니
32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
 
당시 유대인은 로마의 권세를 등에 업고 백성의 세금을 착취하는 세리들을 비난하고 배척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세관에 앉아 있는 레위라 하는 세리를 주목하십니다. 그리고 '나를 따르라'는 말씀으로 그를 제자로 부르십니다. 예수님은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이 은혜로 우리도 구원을 받았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가족과 이웃을 향해 비난과 판단의 마음이 들 때마다 나 같은 죄인을 살리신 주님의 은혜를 기억해야 합니다.
- 내가 용서받지 못할 죄라 여기며 증오하고 멸시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신랑과 함께 있을 때
33 그들이 예수께 말하되 요한의 제자는 자주 금식하며 기도하고 바리새인의 제자들도 또한 그리하되 당신의 제자들은 먹고 마시나이다
34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혼인 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너희가 그 손님으로 금식하게 할 수 있느냐
35 그러나 그 날에 이르러 그들이 신랑을 빼앗기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예수님의 제자들이 금식하지 않고 먹고 마신다며 비난합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혼인 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는 함께 기뻐한다'며 그들의 형식주의를 지적하십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외모로 판단하며 무시하기에 금식할 때와 하지 않을 때를 분별하지 못합니다. 신앙에서 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내용입니다. 그런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을 만드신 주님입니다. 따라서 성도는 주님 안에서 항상 구원의 기쁨을 누려야 합니다.
-내가 외모나 형식만 따지며 다른 사람에게 나의 옳음을 주장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36 또 비유하여 이르시되 새 옷에서 한 조각을 찢어 낡은 옷에 붙이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옷을 찢을 뿐이요 또 새 옷에서 찢은 조각이 낡은 것에 어울리지 아니하리라
37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가 쏟아지고 부대도 못쓰게 되리라
38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할 것이니라
39 묵은 포도주를 마시고 새 것을 원하는 자가 없나니 이는 묵은 것이 좋다 함이니라
 
새 가죽으로 만든 부대는 유연해서 술을 넣는 만큼 부대가 늘어나 많은 양의 포도주를 담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낡은 부대는 포도주를 조금만 더 부어도 금세 터져버리고 맙니다. 여기서 '새 술'은 '예수 복음'을 상징합니다. 세리와 제자들을 정죄하는 형식과 율법주의의 낡은 부대는 이 복음을 온전히 담을 수 없습니다. 복음의 능력은 내 고정관념이라는 낡은 가죽 부대를 버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의 새 부대를 준비할 때 발휘됩니다.
-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며, 새 부대가 되기 위해 내가 버려야 할 고정관념은 무엇입니까?
 
기도
나 같은 죄인을 살리신 주님의 은혜에 감사합니다. 율법주의와 경건주의에 사로잡히지 않고, 제 삶에 복음의 능력으로 찾아오시는 예수님을 온전히 받아들이게 하옵소서. 새해를 맞아 저의 삶과 가정이 새 술을 담는 새 부대가 되게 하옵소서.
예수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