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나라를 구하라 (누가복음 12:22-34)
22 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23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고 몸이 의복보다 중하니라
24 까마귀를 생각하라 심지도 아니하고 거두지도 아니하며 골방도 없고 창고도 없으되 하나님이 기르시나니 너희는 새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
25 또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느냐
26 그런즉 가장 작은 일도 하지 못하면서 어찌 다른 일들을 염려하느냐
27 백합화를 생각하여 보라 실도 만들지 않고 짜지도 아니하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큼 훌륭하지 못하였느니라
28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
29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하여 구하지 말며 근심하지도 말라
30 이 모든 것은 세상 백성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느니라
31 다만 너희는 그의 나라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런 것들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32 적은 무리여 무서워 말라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시느니라
33 너희 소유를 팔아 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라 곧 하늘에 둔 바 다함이 없는 보물이니 거기는 도둑도 가까이 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느니라
34 너희 보물 있는 곳에는 너희 마음도 있으리라
하나님 나라를 구하는 사람은
1. 땅의 것으로 염려하지 않습니다.
22 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23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고 몸이 의복보다 중하니라
무리 중에 한 사람이 유산 문제로 상담을 청하자 예수님은 "오히려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데 있지 아니하리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는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둔 부자의 비유를 하시며 자기를 위해 재물을 쌓아두는 것이 헛되다고 하셨습니다. 내일 일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당장 내일 죽더라도 재물 쌓아둘 곳이 없어서 염려라도 한 번 해봤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그러나 쌓아둘 곳이 없어서 염려하는 부자나 쌓을 곳이 없어서 염려하는 가난한 자나 재물이 우상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24 까마귀를 생각하라 심지도 아니하고 거두지도 아니하며 골방도 없고 창고도 없으되 하나님이 기르시나니 너희는 새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
25 또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느냐
26 그런즉 가장 작은 일도 하지 못하면서 어찌 다른 일들을 염려하느냐
왜 부정한 새 까마귀를 생각하라고 하셨을까요? 울음소리도 흉하고 시체나 뜯어먹는 그런 까마귀조차 하나님께서 기르셔서 먹을 것 걱정하지 않고 날아다니는데 너희는 그 새보다 얼마나 더 귀한지 생각해 보라는 것입니다.
27 백합화를 생각하여 보라 실도 만들지 않고 짜지도 아니하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큼 훌륭하지 못하였느니라
왜 또 백합화를 생각해 보라고 하시나요? 한 번 생각해서 깨닫지 못하니 또 생각해 보라는 것입니다. 백합화가 왜 이렇게 아름다운 꽃이 되었죠? 스스로 실을 만들어 옷을 짜고 치장을 해서 예쁘게 되었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주님은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큼 훌륭하지 못하였다고 하십니다. 왜죠? 백합화에는 생명이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예쁘게 피어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들어갈 이름 모를 들풀도 하나님이 다 이렇게 생명을 주시고 입히시는데 하물며 우리는 어떻습니까? 하나님이 그분의 형상대로 만드시고 그 코에 직접 생기까지 불어넣으셔서 우리가 생령이 되었으니 이보다 더 귀한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적용
- 까마귀나 백합화를 생각하니 무슨 생각이 드나요?
- '당연히 내가 더 귀하다'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까? 그럼에도 먹을 것, 입을 것이 염려되나요?
2. 하늘에 마음을 두고 살아갑니다.
28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
그물까지 내려놓고 주님을 따르고 있는 제자들인데 왜 그들에게 "믿음이 작은 자들아" 라고 하실까요? 내가 교회도 열심히 다니고 날마다 큐티도 열심히 하는데 왜 믿음이 작은 자들아 하실까요? 주님을 믿는다면서도 여전히 먹을 것, 입을 것을 염려하니 그렇습니다. 염려는 곧 불신입니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니까 염려합니다. 가치관이 성경적으로 잘 세워져 있으면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에게 영생을 주신 분인데 그 무엇을 안 주시겠습니까?
31 다만 너희는 그의 나라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런 것들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다만 그의 나라를 구하라고 하십니다. 그러면 내가 그토록 가지지 못해서 그토록 염려하던 이 세상 모든 것, 세상 사람들이 구하는 그 모든 것을 우리에게 더해주신다고 하십니다.
32 적은 무리여 무서워 말라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시느니라
적은 무리는 누구인가요? 이때만 해도 예수님을 따르는 무리가 너무나 적었습니다. 인간이 다수에 속하면 안도감을 느끼는데 소수에 속하면 무서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당시에는 주님을 믿는다는 것이 무서웠을 것입니다. 지금도 그렇습니다. 세상과 전혀 다른 가치관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 많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그 두려움을 아신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적은 무리에게 하나님 나라 주기를 기뻐하신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앉으나 서나 우리가 구해야 할 것은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자나 깨나 내 삶에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주님은 물질이 있고 없음, 많고 적음 때문에 근심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오히려 내가 가진 물질을 어떻게 잘 사용할지를 걱정하라고 하십니다.
33 너희 소유를 팔아 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라 곧 하늘에 둔 바 다함이 없는 보물이니 거기는 도둑도 가까이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느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 구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저축이고 그것이 확실한 미래 투자라는 것입니다. 먹고 쓰고 남은 것을 나누는 것은 진정한 구제가 아닙니다. 내가 가장 아끼는 것을 팔아서 하는 구제야말로 하늘에 쌓아두는 보물입니다. 그 하늘 금고에는 도둑도 가까이 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다고 하십니다. 뿐만 아닙니다.
34 너희 보물 있는 곳에는 너희 마음도 있으리라
날마다 하늘에 마음을 두고 사는 인생만큼 복 된 인생이 또 어디 있겠습니까?
적용
- 여러분의 보물은 어디에 있습니까? 안방 금고에 있나요, 은행에 맡겨 두었나요, 아니면 땅에 묻어 두었나요?
- 그래서 내 마음이 늘 안방에, 은행에, 땅바닥에 가 있지는 않습니까?
무엇 때문에 무슨 일로 그렇게 염려하십니까? 그렇게 염려해서 뭐가 좀 나아지던가요? 그럴 리 없다는 걸 잘 아시잖아요. 염려는 오히려 내 믿음만 가로막을 뿐입니다. 염려가 여전하다면 내가 과연 무엇을 믿고 있는지 하나님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 내 믿음이 얼마나 작은지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이 땅의 것으로 염려하며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마음에 두며 살아가는 복 된 인생이 되시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기도
주님!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하시고 날마다 제가 무엇 때문에 살아가야 하는 지를 알려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는 왜 이렇게 음식과 의복을 중요하게 여기고 세상 사람들이 구하는 것을 똑같이 얻으려고 이런저런 근심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주님, 지금은 비록 믿음이 작은 자이지만 모든 염려를 주님께 맡기기를 원합니다. 오직 하나님의 나라만 구하는 제가 되기를 원합니다. 날마다 제 속에 안 되는 것이 많지만 그래도 하나님이 또 말씀을 주시고 이렇게 갈 길을 가르쳐 주시니 언젠가는 반드시 될 줄 믿습니다. 소유를 팔아 구제함으로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기 원합니다. 다함이 없는 보물을 하늘에 쌓길 원합니다. 그 보물이 있는 하나님 나라에 마음을 두고 살아갈 수 있도록 특별한 은혜를 덧입혀 주시옵소서. 있으면 먹고 없으면 금식하고 죽으면 천국 갈 수 있는 믿음을 허락해 주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